ip -> 외부 통신을 위해서
tcp/udp
port
-----
2 Layer - DataLink Frame 단위
3 Layer - Network Packet 단위 ex) 라우터
- 어디를 가도 더 넓게 보면 내부가 존재하게 되는 구조
4 Layer - Transport segment 단위
...
나머지는 소프트웨어, 응용프로그램과 연관
...
--------
TCP/IP
OSI 7 Layer | TCP/IP 각각의 계층간의 연관성 비교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-> Layer 1,2
Mac 주소 -> ipconfig /all
-> 앞의 세자리 -> 회사이름과 연관된 코드 (vendor)
+ 랜덤
-> 같은 값을 만들지 않음
-> 공유기의 Mac -> 바깥 + 외부 +(무선)
- CSMA/CD -> 데이터 충돌 방지를 위한 인터페이스 형식
- Ethernet -> frame 구조
preamble: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알려 주는 부분
destination address : mac주소가 들어가는 부분
source address : 프레입을 전송하는 호스트의 MAC주소
ethertype : 프레임이 어떤 프로토콜 타입과 연계되어 있는지 알려 줌
FCS(frame check sequence) : 프레임의 오류를 체크
---------
IP 계층
forwarding - 패킷이 라우터의 입력 링크에 도달시 라우터는
패킷을 적절한 출력 링크로 이동 시켜야 함
- 다음 라우터로 패킷을 보내는 것
routing -
hop - 상대방 OS를 추측하기 위해서 hop을 계산
ping을 한 후에 TTL 값으로 OS확인 -> TTL=128 //windows
TTL=64 // linux
TTL=52 // ??
* 나의 라우터를 제외하고 hop을 계산하여야 함 -> +- 1 정도의 오차
내부 네트워크 이름(NetId)을 알아내기 위한 방법
IP 주소 = Netid + HostId
class type -> 네트워크의 크기
-> 0, 255 빼고 1~254 사용 -> c class type -> 192.168.10.1~254 -> 255.255.255.0
-> 0, 255 빼고 1~254 사용 -> c class type -> 192.168.1~254.1~254 ->
netmask
255.0.0.0 -> A class -> 국가급 -> 2^24
255.255..0.0 -> B class -> -> 2^16
255.255.255.0 -> C class -> -> 2^8
.. ... ...
공인 IP - 세상에 하나밖에 없음, 유료
사설 IP - 공인IP를 빼고난 부분, 공짜
-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 불가 -> 방화벽 기능
-> 포트 포워딩 ->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줌
- iptime 오작동 심함
- 공유기 IP의 중복으로 게임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간혹 있음
- 사설 IP 대역 ex)
10.0.0.0 /8~15 A class 10.0.0.1/8 ~ 10.255.255.254
subnet mask : 255.0.0.0
172.16.0.0 /16~23 B class 172.16.0.1/16 ~ 172.31.255.254
subnet mask : 255.240.0.0
192.168.0.0 /24~32 C class 192.168.0.1/24 ~ 192.168.255.254
subnet mask : 255.255.0.0
* A -> B -> C 로 낮추어서 class를 바꾸어 사용할수 있으나 역으로 올려서 쓰지는 못함
* 내부와 외부의 구분
-----------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OSI 7 Layer TCP/IP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7 응용계층 응용프로세스계층 |
6 표현계층 응용프로세스계층 |
5 세션 응용프로세스계층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4 전달 TCP/IP 계층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3 네트워크 IP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|
1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reshark (0) | 2014.09.17 |
---|---|
packets, ports and network (0) | 2014.09.16 |
Network involving protocols and Layers (0) | 2014.09.11 |
noticing what is stolen from the web (0) | 2014.09.05 |
basic knowledge of network hacking (0) | 2014.09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