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802.11 Frame
frame type - Control, Data, management
sub type - RTS... data... beacon...
FC
Duration /ID -> NAV information, 절전모드에서 깨어날때 PS-Poll로 체크
address1 -> mac 주소
address 2 -> mac 주소
address 3 -> mac 주소
sequence control -> MSDU, sequence number, fragment number
address 4 -> mac 주소
DATA
FCS
FC -> ...
-> more fragments -> 뒤에 data가 더 있으면 1, 없으면 0
-> sequence control 아래 fragment number에 기록됨
-> more data -> -> 뒤에 data가 더 있으면 1, 없으면 0
-> sequence control 아래 sequence number에 기록됨
-> Retry -> 재전송 -> 재전송하면 1 아니면 0
-> power management -> 절전 모드
-> WP -> 공유기 암호화 방식중에 하나 -> 0이면 암호화 되있는것 아니면 1
-> 공장 초기화 암호들을 기반으로 만든 사전 파일을 쓰면 금방 뜷림
-> 특정 규칙을 기반으로 만든 암호 사전 파일을 쓰면 잘 뜷림
-> 무선에서 못깨는 암호는 없다고 보면 됨
----------------
802.11 결합과정 (Passive)
해킹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부분
<--------beacon ---------------
station ------ Authentication Request ----> AP
<-----Authentication Response----
------ Association Request ------>
------ Association Response ----->
-> 관점이 항상 station 관점이다
beacon -> SSID, CH, 암호방식, 신호세기, (BSSID)에 관한 정보를 가짐
-> BSSID는 스캐닝을 해야 볼수 있음
-> SSID는 중복되면 하나만 드러남, 신호가 가장 쎈게 드러남
인증과 결합 -> IP를 받아 오는 중 -> 연결됨 -> 통신 가능
-> 거의 AP는 DHCP를 운영한다고 보면 됨
-> 무선 profile에 기존의 정보들이 담겨져서 다음에는 자동으로 연결됨
-----------
802.11 결합과정 (Active)
-------- Probe Request ------->
<--------Probe Response------
station ------ Authentication Request ----> AP
<-----Authentication Response----
------ Association Request ------>
------ Association Response ----->
SSID 비공개 -> 기타 네트워크에서 beacon 없이 Probe Request 전송하여 접속
숨겨진 SSID 찾기 -> Probe Request 패킷을 이용하여 파악
-> 이미 연결된 사용자의 연결을 DOS로 끊고 나서
다시 연결할때 Probe Request 확인
-----------
암호가 없으면 인증을 하는가 ???
--- 오픈 시스템이 맞습니까 ? --->
<--- 오픈 시스템이 맞습니다 ---
-----------
Packet Capture
wireshark로 캡처 가능
wlan.fc.type==0
wlan.fc.type==1
wlan.fc.type==2
wlan.bssid==?
-------
hidden node
RTS(나 데이터 보낼건데...)/ CTS (a랑 데이터 주고받는다)
-> 데이타 충돌 방지
NAV- network allocation vector
--------
powersave
절전모드
PM -> power management
PM 이 1이면 절전모드
절전모드에서 해제되어야 데이터송수신가능 -> 깨우기 -> Ps Poll -> 잠깐 절전모드에서 해제
-------
datarate
거리와 데이터 송수신 관계
인접 범위에서 무선에 접속하여 방화벽을 손쉽게 우회할 수 있게될 수도 있음
-> 기업에서 무선을 지양하는 이유
-> 전송세기를 낮추어서 신호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함
주파수 대역마다 데이터 확산 정도가 다름
802.11 a
802.11 b
802.11 g
-> 고급장비들은 datarate를 기준으로 접속 차단
---------
Channel
0.005 -> 1칸
4칸을 띄워야 간섭이 안 일어남
-> 주파수를 많이 쓰고 있기때문에 간섭은 일어날 수 밖에 없음
-> a 채널을 쓰면 지원되는 랜카드도 잘 없지만 쓰는 사람도 별로 없는 편
--------------
802.11 Pentest
Rougue AP
Ad-Hoc
Phishing
Probing Station
Dos
Mac Spoofing
정책위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