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MM app controller 설치 -> 웹서버와 가상화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
IIS
인증서 선택
데이터베이스 선택 -> 일반 ms sqlp선택
주어진 도메인으로 접근 -> silver light 설치
vmm 서버
VMM서버를 이용해 많은 가상 호스트 관리
-------------------------
DAS ->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
NAS -> 공유 -> NFS(linux) / SMB(windows)
SAN -> FC (fiber channel) - SAN -> WWN -> 비쌈
IP - SAN
블록장치
캐릭터 장치
IP-SAN -> FCoE -> 기존의 tcp/ip 이용
ISCSI -> 일반 네트워크, 스위치 사용가능
->고유의 프로토콜 해석 -> target / initiator 사용 -> iqn
스토리지 사용 -> 백업, 복구 유용
-> 호스트자체에 디스크가 없을 수 있음
-> BIOS, UEFI에서 네트워크로 부팅 -> SAN-Boot
hyperv 호스트 재부팅, scale up이 필요할시 호스트내의 가상 컴퓨터를 다른 곳으로 migration 가능
-> 가상컴퓨터 migration -> 호스트 자체를 이동 -> quick migration (빠른)
-> live migration (실시간) -> 운영체제가 켜진 상태 그대로 이동
-> hot migration
-> DAS를 쓰면 hot이 안 됨
-> storage migration -> 호스트 내에서 블록을 이동
----------
LUN
스토리지 사용 이점
-> 호스트가 죽어도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
-> 소유권 -> 스토리지 읽기, 쓰기
-> 다른 컴은 읽기만 가능
-> 라이브 migration 가능
Disk -> 공유 할당
Network -> 똑같은 구조로 만들어 줘야 함
Memory -> live migration시 메모리 복사 -> 80%의 static data 먼저 그다음 나머지 복사 -> 변화가 많으면 migration 오래 걸림
CPU -> Intel / AMD -> 명령어 세트 -> 되도록이면 호스트의 종류 같게
-> 서비스 중단 없는 장점
Planned Downtime -> 정기 점검 -> live migration 가능
Unplanned Downtime -> 장애 발생 -> quick migration만 가능
-> 가용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스토리지 사용
+ 클러스터 -> 시스템 이중화 -> 물리적으로 여러개인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음
=======================
1. Hyper-v 역할 설치
--통합 관리가 필요한가?
2. AD설치
3. Domain Member 가입 (Hyper-v 호스트 및 VMM서버)
4. MS SQL 서버 설치
5. VMM서버 및 콘솔 설치
6. VMM서버에서 Hyper-v 호스트 추가
---클라우드 서비스가 필요한가?
7. VMM서버에 App Controller 설치
8. https://<VMM-FQDN> 접속
9. SSP용 사용자 생성 및 역할 추가
---Live Migration / 고가용성이 필요한가?
10. iSCSI 스토리지 서버 준비
11. iSCSI Target 구성
12. Hyper-v 호스트에서 iSCSI Initiator 구성
13. Hyper-v 호스트에서 장애 조치클러스터 설치
14. 클러스터 구성
15. 스토리지에 가상컴퓨터 생성 후 실시간 마이그레이션 확인
'In centum city > Virtualiz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13 (0) | 2015.10.13 |
---|---|
1012 (0) | 2015.10.12 |